기절·호흡곤란·경련 시 응급대처법과 하임리히법 사용 가이드
일상에서 누구나 갑작스럽게 기절하거나 호흡곤란, 경련을 겪는 사람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. 올바른 응급대처법을 숙지하면 생명을 구하거나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성인과 영아 구분 기도 막힘 시 하임리히법, 기절과 경련 응급처치, 호흡곤란 대응법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.
1. 기절 응급처치
기절(실신)은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줄어 의식을 잃는 상태입니다. 대부분 단시간 내 회복되지만, 올바른 대처가 중요합니다.
- 환자를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고, 눕히며 다리를 약간 올려 혈류를 증가시킵니다.
- 옷이 조이면 느슨하게 풀어주어 호흡을 편하게 합니다.
- 호흡과 맥박을 확인하고, 1분 이상 호흡이 없거나 이상이 있으면 119에 신고합니다.
- 회복 시 의식이 돌아오면 안정적인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게 하고, 탈수나 저혈당이 원인인 경우 수분과 당분 보충을 고려합니다.
- 반복 기절이나 장시간 의식 소실은 반드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.
2. 호흡곤란 응급대처
호흡곤란은 기도 폐쇄, 알레르기 반응, 심장질환, 천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주요 대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환자를 편안하게 앉히거나 상체를 약간 세워 호흡이 용이하도록 합니다.
- 숨을 천천히 내쉬고 들이쉬도록 격려하며, 패닉 상태를 최소화합니다.
- 알레르기나 천식 환자라면 평소 사용하는 흡입기나 항히스타민제를 즉시 투여합니다.
- 기도 막힘이 의심되면 즉시 하임리히법을 실시합니다.
- 호흡곤란이 심하고 청색증, 의식 저하가 동반되면 119를 즉시 호출합니다.
3. 경련(발작) 응급처치
경련은 뇌전증, 고열, 전해질 이상 등으로 갑자기 발생할 수 있으며, 주변에서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환자를 평평한 바닥에 눕히고, 주변 위험물 제거
- 머리와 목 주변에 부드러운 쿠션이나 손수건을 놓아 충격 방지
- 발작 동안 입에 물이나 음식물을 넣지 않음 – 질식 위험
- 발작 후 의식이 돌아오면 옆으로 눕혀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함
- 첫 발작이거나 발작이 5분 이상 지속되면 즉시 119 신고
4. 기도 막힘 시 하임리히법
기도 막힘은 음식물, 작은 물건 등으로 발생하며,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.
성인 및 아동 하임리히법
- 환자를 뒤에서 안고 주먹을 주먹 쥐듯 복부 상부, 배꼽과 흉골 사이에 위치
- 다른 손으로 주먹을 감싸고 강하게 안쪽·위쪽으로 5회 정도 압박
- 압박 후 이물질이 나오면 제거, 계속 기침 유도
- 환자가 의식을 잃으면 즉시 CPR 실시
영아 하임리히법
- 영아를 팔에 엎어 눕히고, 머리가 몸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함
- 한 손으로 머리와 목 지지, 다른 손으로 등 부위를 5회 두드림
- 등 두드림 후 기도가 막힌 경우 가슴압박 5회 반복
- 반복 후 의식이 없으면 119 신고 후 CPR 실시
5. 응급상황 시 주의사항
- 환자를 이동할 때 더 큰 위험이 없는지 확인
- 기절, 경련, 호흡곤란 시 주변 사람의 도움 요청
- 심한 출혈, 청색증, 의식 소실이 동반되면 즉시 119 신고
- 하임리히법 시행 시 과도한 힘은 내부 장기 손상 위험 있으므로 주의
6. 정리
기절, 호흡곤란, 경련 및 기도 막힘은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입니다. 성인과 영아 구분 하임리히법, 기절 시 다리 올리기, 경련 보호법, 호흡곤란 시 자세 조정 등 기본 원칙을 숙지하면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. 평소 응급처치 교육을 받고, 상황 발생 시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